Share

대한민국 여성 근로자의 사회적 인식 변화

한국 여성의 삶과 지위

최근 여성의 지위에 관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특히, 정부가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라고 발표하면서 논란이 커졌습니다. 그러나 뒤에서 알아보겠지만 여성 차별은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여전히 사회 곳곳에 뿌리박혀 자취들이 남아 있습니다. 물론 여성들의 삶은 수십 년간 상당한 변화가 있었지만 오늘날 여성의 삶과 위치는 어떤 상황일까요? 그리고 그 정치적 함의는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한국 여성 삶의 변화와 모순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서 논란의 쟁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자알바

여성 삶의 변화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날 여성은 과거의 그 어느 때보다 많이 집 밖에서 업무를 보고 있습니다. 한국여성단체협회와 통계청이 임금노동자 수를 파악하기 시작한 1963년 당시 여성 임금근로 인력 수는 약 57만 명으로, 전체 노동자의 24퍼센트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약 60년이 지난 현재 여성 근로자 수는 931만 명으로, 무려 16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1992년을 기준으로 하면, 30년 만에 여성근로 인력 수는 2배 넘게 늘어난 것입니다.

한국 여성의 근로 환경 변화

전체 근로자 중 여성의 비중은 44.8퍼센트로, 전체 근로 인력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경제 불황은 여성 취업에 악영향을 주긴 했으나, 여성 취업과 여자알바의 증가 추세 자체를 꺾지는 못했습니다. ‘경제 위기 때 여성이 손쉽게 노동시장에서 퇴출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음을 보여 주고있습니다. 내 어머니 시대에는 여성이 결혼하고 출산하면 회사를 그만두고 전업주부가 되는 일이 흔했지만, 이제 더이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직업에 따른 성차별의 변화

최근 정부의 통계 조사 여성단체들의 실태를 보면, 20~30대 남녀는 성적과 입시에 대한 관심, 학업 성취, 리더십 및 교내외 활동에서 남녀 차이가 매우 낮았습니다. 주요 국가 시험에서도 여성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지난해 행정고시 합격자의 약 40퍼센트, 외무고시 합격된 사람의 63.4퍼센트, 변호사시험 합격자의 45.8퍼센트가 여성이었습니다. 여성 법조인도 눈에 띄게 증가하였습니다. 2000년에는 겨우 3퍼센트밖에 안 됐는데, 2020년에는 판사의 31.4퍼센트, 검사의 32퍼센트, 변호사의 27.8퍼센트가 여성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한국 여성들의 인식 변화

이혼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혼을 꺼리던 사회 분위기도 상당량 바뀌었습니다. 1인 가구도 40년 전에는 4.8퍼센트에 불과했지만, 이제 32퍼센트나 되고 있습니다. 여성들은 아이를 점점 더 늦게, 더 적게 낳고 있습니다. 1970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추측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4.53명이었지만 2021년에는 0.81명밖에 안 되고 있습니다. 20대부터 아이를 계속 낳고 키우느라 평생을 보낸 이전 세대 여성들의 삶과는 많이 달라진 것입니다.

오늘날 여성의 지위 변화

이와 같은 변화들은 분명 여성에게 진보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렇다면 여성 차별은 과거형이 되었을까요?? 이런 주장은 주로 편협된 무리의 인식에서 퍼뜨리지만, 평범한 청년층 남성의 소수계층도 아직은 이렇게 주장하는 듯합니다. 자신들은 여성 차별을 많이 경험하지 않고 자랐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20대 여성 노동 시장의 성별 격차는 다른 세대보다 적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법적 차별도 대부분 사라지고 있으며 여성에 대한 존중도 예전에 비해 상당량 많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You may also like...